씽씽 (Ssing Ssing)

사진부터 힙한 민요락밴드 씽씽

나는 국악에 애정이 있다. 기본적으로 오래된 것에 대한 흥미가 있고, 어릴 적 풍물을 배웠던 적도 있다 (그땐 몰랐지만 무려 김덕수패에 계셨던 분이었다). 그렇지만 나는 국악을 즐겨 듣는가? 전혀 그렇진 않았다. 단지 음악적으로 와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씽씽 (NPR Music Tiny Desk Concert)

민요를 하는 밴드 씽씽은 적어도 인디와 월드뮤직 계에서 지금 하나의 현상인 것 같다. 단순히 민요와 락을 섞었다는 사실이 신기해서만이 아니라, 음악이 너무나 중독성있고 이들이 너무나 힙해서 그렇다! 우리나라의 샤머니즘을 현대적으로 형상화한 세 보컬의 외모부터 범상치 않다. 이 분들은 모두 민요계에서 인정받아 온 분들이다. 연주자들 역시 슈퍼밴드라 불려도 이상하지 않을 분들이니, 이 조합이 뭔가 괜찮은 걸 내놓는 게 전혀 이상할 것은 없다. 

그렇지만 씽씽의 음악에는 그 이상의 무언가가 있다. 이게 뭐지? 하면서 듣다 보니 어느 순간 몇번이고 다시 플레이를 하게 된다. 분명히 몇백년 된 민요가 맞고 전체적인 사운드도 오늘날 크게 유행하는 리듬이나 공간감과는 거리가 있지만, 무언가 새로운 것이 탄생한 것만 같다. 각 곡에다 여러 개의 민요를 절묘하게 엮어 넣은 편곡도 그렇고, '앙? 하하하하'나 '긴난봉가 난봉가' 같은 재치있고 요상한 추임새가 그렇다. 장영규, 이태원, 이철희님으로 이루어진 미니멀한 조합의 밴드는 적재적소에 리듬의 변화를 가져가며 대체로 하나의 코드진행이 반복되는 노래에서 조화와 변화를 만들어낸다. 충격적인(?) 복장과 쉴새없이 이어지는 춤사위에서 비쳐지듯 이분들이 오늘날 흥하는 것은 단순한 옛것의 재발견을 넘어, 현대적인 '끼'를 가지고 음악과 퍼포먼스를 만들어내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민요를 부르지만, 그것을 음악적인 재료로 사용하여 전혀 새로운 사운드를 창조한 것이다. 

NPR 공연은 지금도 하루에 약 1만회 정도 조회수가 올라가고 있을 만큼 핫하고, 내가 이 영상을 처음 접한 약 1달 전 이후로도 계속 우리말과 영어 베댓이 업데이트되고 있다. 몇개만 뽑아 보자면..





베틀가+오봉산타령+한강수타령+개구리타령을 섞은 이희문님의 첫 곡, 긴난봉가와 자진난봉가를 조합한 추다혜님의 둘째 곡, 사설난봉가에 장기타령이 엮인 신승태씨의 마지막 곡 모두 각자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 영상에 필적할 만한 마스터링의 영상이나 음원을 찾기 어려운 점이 아쉽지만,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만큼 여러 클립들이 올라오고 있다. 특별히 기억에 남았던 곡은 가사가 슬픈 '창부타령'이다. 

씽씽 - 창부타령 (Millenium Stage Live 2017, 28:04)

이분들의 행보는 이희문씨가 출연한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그 의도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짧은 시간에 필요한 질문을 짚어내는 진행자의 능력과 이희문씨의 끼가 느껴진다. 무엇보다 '국악의 대중화'를 생각하는 그의 입장에 공감이 간다.


경기민요 이수자인 이희문씨는 이전부터 다양한 음악(+퍼포먼스)적인 시도를 해 왔는데, 특히나 윈디시티와 협연한 '노들강변' 무대가 가장 인상깊다. 월드뮤직을 하는 두 뮤지션이 만난 셈인데, 시너지가 장난이 아니다. 
윈디시티&이희문 - 노들강변 (판스틸러 Live)


메이저한 느낌의 전주와 전혀 다르게 전개되는 몽환적인 느낌의 투코드. 흔히 듣는 리듬과 전혀 다른 국악 리듬을 차용한 카우벨 소리. 취향저격인 베이스 리프. 그냥 국악기를 썼다는걸 자랑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정말로 음악에 녹아드는 해금과 꽹과리.
이 모든 음악적 요소 위에 김반장님을 후달리게 만드는 이희문씨의 보컬이 얹어지는데, 복장과 몸짓이 너무나 힙해 민요에 대한 마지막 거부감 또는 생소함마저 날려버린다. 무대를 보고 있자면, 갓을 쓰고 비녀를 꽃은 전통의상과 아프리카 필이 나는 김반장, 제일 현대적인 복장의 꽹과리 및 키보드주자, 날라리같은 개량한복에 썬글라스를 낀 이희문씨의 모든 조합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마지막에 부채를 펴드는 마무리까지 완벽하다.

민요를 포함한 전통음악의 역사적인 가치야 더 강조할 필요 없지만, 오늘날의 생활상은 옛 조상들이 민요를 부르던 시대의 그것과 완전히 다르다. 애초에 대부분의 민요는 공연장 같은 곳에서 관객과 퍼포머로 나뉘어 듣고 부르던 종류의 음악도 아니었을 것이다. 게다가 모든 면에서 세계적인 범위로 통합과 교류와 퓨전이 이루어지는 시대다. 민요라는 장르를 블루스, 재즈, 훵크, 레게, 스카, 인도음악, 롹, EDM, 클래식 등등에 포함되는 하나의 음악적 요소라고 받아들인다면, 그것이 다른 음악과 섞여 새로운 걸 만들어내는 현상을 거부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본다. 더군다나 그 결과물이 이렇게 사람들의 마음을 끈다면 더 말해 무엇할 것인가. 다양성을 넓힌다는 차원에서 씽씽과 민요가 더 흥하면 좋겠다.

댓글